반응형
우리는 지난시간에 코드 셋을 배웠다. 토닉, 서브도미넌트, 도미넌트이다. 오늘은 이 코드를 확장시켜보려고 한다. 다이아토닉 코드를 이용하여 확장시킬 것이다.
다이아토닉 코드는 다이아토닉 스케일에서 만들어진 코드다. 다이아토닉 스케일은 우리가 흔히 아는 도레미파솔라시도다.
C 메이저 key를 예로 들면 코드들은 아래와 같다. 도레미파솔라시 각각에 3도씩 쌓아 코드를 만든 것이다. 3도를 쌓을 때는 다이아토닉 스케일 음들로만 쌓은 것이다. 누군가는 몇몇 코드들에 7이 붙어있는게 의아할 것이다. 7을 안붙여도 되는데 주로 붙여서 사용하기 때문에 붙여서 쓰겠다.
C key | C | Dm7 | Em7 | F | G7 | Am7 | Bm7b5 |
이 코드들만 갖고 곡을 만들 수 있고 그렇게 만들어진 곡들도 많다. 일반화 시키면 아래와 같다.
다이아노틱 | I | IIm7 | IIIm7 | IV | V7 | VIm7 | VIIm7b5 |
코드 셋에서 코드 일곱개로 확장됐다. 그렇다면 코드 셋만 가지고 만든 노래에서 위와 같이 어떻게 확장시킬 수 있을까. 바로 대리코드라는 개념이다. 대리코드는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코드를 말한다. I도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코드는 IIIm7과 VIm7 이다. IV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코드는 IIm7 이다. V7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코드는 VIIm7b5이다.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코드셋 | I | IV | I | IV | V7 | I | V7 |
다이아노틱 | I | IIm7 | IIIm7 | IV | V7 | VIm7 | VIIm7b5 |
반응형
'작곡을 위한 코드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곡을 위한 코드 빌드업] 레벨 6. 도미넌트의 대리코드 2 (bIIm7) (0) | 2022.01.08 |
---|---|
[작곡을 위한 코드 빌드업] 레벨 5. 도미넌트의 대리코드 1(VIIIm7b5) (0) | 2022.01.08 |
[작곡을 위한 코드 빌드업] 레벨 4. 투 파이브 원 (2-5-1) (0) | 2022.01.04 |
[작곡을 위한 코드 빌드업] 레벨 3. 세컨더리 도미넌트 (0) | 2022.01.04 |
[작곡을 위한 코드 빌드업] 레벨 1. 코드 셋 (토닉, 서브도미넌트, 도미넌트) (0) | 2022.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