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작곡14

[직장인의 작곡렛슨 #10] 숙제6 (두번째곡 - 코러스 씀) 두번째 곡 수정에 반영한 피드백이다. - 코러스가 아쉬움. 코러스 안같음. 피치는 올라갔는데 멜로디에 후크가 없음. - 플렛2는 상승 느낌이 아니라 후렴 전에는 안쓰는게 좋음. 빌드업을 시켜야함. 플렛2는 벌스나 엔딩에 주로 씀. 플렛2 뺐고, 코러스를 아예 바꾸었다. 바꾸는 과정이 정말 힘들었다. 멜로디와 코드진행을 둘다 만드는게 쉽지 않았다. 2022. 1. 22.
[작곡을 위한 코드 빌드업] 레벨 9. 도미넌트의 대리코드로써의 디미니쉬 우리는 지난시간까지 아래 코드표를 완성했습니다. 코드셋 I IV I IV V7 I V7 다이아토닉 I IIm7 IIIm7 IV V7 VIm7 VIIm7b5 세컨더리 도미넌트 V7 VI7 VII7 I7 II7 III7 - 세컨더리 도미넌트의 IIm7 IIm7 IIIm7(b5) #IVm7(b5) Vm7 VIm7 VIIm7(b5) - 세컨더리 도미넌트의 대리코드 1 VIIm7b5 #Im7b5 #IIm7b5 IIIm7b5 #IVm7b5 세컨더리 도미넌트의 대리코드 2 bII7 bIII7 IV7 bV7 bVI7 bVII7 IV의 마이너 IVm IVm 의 대리코드 bVI6 bVIM7 bIIM7 IIm7b5 bVII7 토닉의 대리코드 #IVm7b5 #IVm7b5 #IVm7b5 오늘은 디미니쉬를 추가할 것입니다. 디미.. 2022. 1. 15.
[직장인의 작곡렛슨 #9] 6회차 (숙제 피드백) 1) 미생에게 피드백 - DM7 으로 끝내는건 4도로 끝내는거다. 4도로 끝내는 경우는 잘 없다. 서브도미넌트는 엔딩느낌이 없어진다. - 종결할 때는 1,5,6도 중에서 주로 씀. 5도로 끝내는건 자이언티가 많이 씀. - 6도는 거짓종지이다. 1도 대리코드라 가능. 그렇게 많이는 안쓰임. 차라리 1도 식스로 끝냄. 둘이 구성음 같음. - 모달 인터체인지 걸 때, 탑라인도 짜주는게 좋음. 공통음 겹쳐서. 여기서는 라가 괜찮. 2) 증거 - 멜로디로 코드 바로 찾을 수 있는지? - 싱어송 라이터로 본인 색깔이 있음. - A에서 A' 갈 때 너무 비슷해서 루즈해짐. A에서 프리코러스로 바로 가도 괜찮. 요즘 발라드는 A' 잘 안나옴. - 부르는데 지겹다고 말씀드렸더니, 건반 한대라 그렇다고 하심. 악기 빌드업.. 2022. 1. 15.
[직장인의 작곡렛슨 #8] 숙제5 (두번째 곡 수정 및 완성) 아래는 반영한 피드백이다. - 분수코드가 넘 연속적으로 많이 쓰여있음. 분수코드도 불완전한 코드다. dim 처럼 베이스라인 맞추려고 쓰기 시작한것임. 또는 페달포인트를 위해 쓰는 것임. (한 베이스음 유지하면서 느낌내는데) - Am7은 A7 으로 할 수 있음. Dm7 도 D7으로 가능. 비화성음이라 리프레시 가능. - A' 에서도 약간 variation 을 주는게 좋음. 원래 멜로디의 3도나 6도 쓰면 좋음. 수정 결과는 아래와 같다. 2022. 1. 15.
[작곡을 위한 코드 빌드업] 레벨 8. 토닉(1도)의 대리코드 우리는 지난시간까지 아래 코드표를 완성했습니다. 코드셋 I IV I IV V7 I V7 다이아토닉 I IIm7 IIIm7 IV V7 VIm7 VIIm7b5 세컨더리 도미넌트 V7 VI7 VII7 I7 II7 III7 - 세컨더리 도미넌트의 IIm7 IIm7 IIIm7(b5) #IVm7(b5) Vm7 VIm7 VIIm7(b5) - 세컨더리 도미넌트의 대리코드 1 VIIm7b5 #Im7b5 #IIm7b5 IIIm7b5 #IVm7b5 세컨더리 도미넌트의 대리코드 2 bII7 bIII7 IV7 bV7 bVI7 bVII7 IV의 마이너 IVm IVm 의 대리코드 bVI6 bVIM7 bIIM7 IIm7b5 bVII7 오늘은 토닉의 대리코드를 추가해 보겠습니다. 다이아토닉 내에서 토닉의 대리코드는 IIIm7 과 VI.. 2022. 1. 15.
[작곡을 위한 코드 빌드업] 레벨 7. 4도 마이너(IVm)의 등장 지난시간까지 찾은 코드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코드셋 I IV I IV V7 I V7 다이아토닉 I IIm7 IIIm7 IV V7 VIm7 VIIm7b5 세컨더리 도미넌트 V7 VI7 VII7 I7 II7 III7 - 세컨더리 도미넌트의 IIm7 IIm7 IIIm7(b5) #IVm7(b5) Vm7 VIm7 VIIm7(b5) - 세컨더리 도미넌트의 대리코드 1 VIIm7b5 #Im7b5 #IIm7b5 IIIm7b5 #IVm7b5 세컨더리 도미넌트의 대리코드 2 bII7 bIII7 IV7 bV7 bVI7 bVII7 메이저 키에서는 마이너키의 4도인 IVm 를 차용할 수 있다. C 메이저 키를 예로 들면 F 대신 Fm 를 쓸 수 있는 것이다. 코드셋 I IV I IV V7 I V7 다이아토닉 I IIm7 III.. 2022. 1. 9.
[직장인의 작곡렛슨 #7] 5회차 (즉흥 멜로디 만들기) 즉흥 멜로디 만들기를 했다. 선생님이 두마디 코드와 멜로디를 주시면 이어서 써보는 것이다. CM9 CmM7 음은 시시시솔, 시시시라 였다. 멜로디를 대충 쓰고 코드를 붙이는데 쉽지 않았다. CM9 CmM7 Bm7 G C키가 아니라 G키다. 나는 4-3-1 로 만들었는데, 보통 4-3-6 으로 간다고 하셨다. CM9 CmM7 Bm7 Em7 훨씬 매끄럽다. 여기서 텐션을 넣거나 세컨더리도미넌트를 넣을 수 있다. Bm7 을 B7 으로 바꾸거나, Em9 으로 바꾸거나 등등. 이어서 계속했다. CM9 CmM7 Bm7 Em7 C D7 G 맨 뒤가 4-5-1 인데 2-5-1 이 낫다고 하셨다. CM9 CmM7 Bm7 Em7 Am7 D7 G 또는 세컨더리 도미넌트를 넣어서 E7 을 넣어도 된다. 3도나 6도가 나오면 .. 2022. 1. 8.
[작곡을 위한 코드 빌드업] 레벨 3. 세컨더리 도미넌트 지난시간에 코드셋과 코드셋의 확장인 다이아토닉 코드들을 다뤘고 아래와 같다. 코드셋 I IV I IV V7 I V7 다이아토닉 I IIm7 IIIm7 IV V7 VIm7 VIIm7b5 아마 어느순간 이 코드들로 작곡하는게 지겨워질 것이다. 다행히 다음 단계가 있다. 도미넌트라는 것인데 도미넌트는 어떤 코드의 5도를 말한다. 예를들어 C 코드의 도미넌트는 G7코드다. 도미넌트는 항상 어울린다. 이건 일종의 '발견'이다. 우리 뇌가 도미넌트를 어울리게 느끼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사용하고 있던 다이아토닉 코드들의 도미넌트들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래와 같다. 더 정확히 말하면 I 의 V7 만 도미넌트이고, 나머지는 세컨더리 도미넌트라고 부른다. 1도의 도미넌트는 그냥 도미넌트인데 그.. 2022. 1. 4.
[작곡을 위한 코드 빌드업] 레벨 2. 다이아토닉 코드 우리는 지난시간에 코드 셋을 배웠다. 토닉, 서브도미넌트, 도미넌트이다. 오늘은 이 코드를 확장시켜보려고 한다. 다이아토닉 코드를 이용하여 확장시킬 것이다. 다이아토닉 코드는 다이아토닉 스케일에서 만들어진 코드다. 다이아토닉 스케일은 우리가 흔히 아는 도레미파솔라시도다. C 메이저 key를 예로 들면 코드들은 아래와 같다. 도레미파솔라시 각각에 3도씩 쌓아 코드를 만든 것이다. 3도를 쌓을 때는 다이아토닉 스케일 음들로만 쌓은 것이다. 누군가는 몇몇 코드들에 7이 붙어있는게 의아할 것이다. 7을 안붙여도 되는데 주로 붙여서 사용하기 때문에 붙여서 쓰겠다. C key C Dm7 Em7 F G7 Am7 Bm7b5 이 코드들만 갖고 곡을 만들 수 있고 그렇게 만들어진 곡들도 많다. 일반화 시키면 아래와 같다... 2022. 1. 4.
[작곡을 위한 코드 빌드업] 레벨 1. 코드 셋 (토닉, 서브도미넌트, 도미넌트) 30대에 작곡 렛슨을 받고 있는데, 코드 진행에 한해서는 결국 패턴이라는 생각이 든다. 또 그 복잡도 레벨이 몇가지 단계로 나뉘어 있는 것 같아 나름대로 체계화 시켜 보려고 한다. 레벨1은 세개의 코드다. 모든 노래의 기본은 코드 셋이다. 토닉, 서브도미넌트, 도미넌트이다. 1도, 4도, 5도 코드를 말한다. 토닉 : 1도 서브도미넌트 : 4도 도미넌트 : 5도 복잡한 노래들도 이 코드 셋으로 '환원'시킬 수 있다. 반대로 이 코드 셋으로 노래를 만든 뒤 코드를 변형하여 '확장'시킬 수도 있다. C코드를 예로 들면 아래 세 코드가 토닉, 서브도미넌트, 도미넌트다. 도미넌트는 주로 7th의 형태로 사용한다. C, F, G7 2022. 1. 4.
Major key 다이아토닉 코드모음 (b플렛버전) Major key 다이아토닉 코드모음 (b플렛버전) 입니다. 2022. 1. 1.
Major key 다이아토닉 코드모음 (#샵버전) Major key 다이아토닉 코드모음 (#버전) 입니다. 2022. 1. 1.
[직장인의 작곡렛슨 #6] 숙제3 (곡 수정해오기) 수정 전 무료 악보 제작 프로그램이 있길래 다운받아서 악보를 그려보았다. 아래는 수정사항이다. - 전주, 간주 라인 추가 - 리허설마크 추가 - 벌스 반복성 있게 수정 - 겹세로줄 추가 - 코러스 음 높게 수정 - A2는 수정 안하고 그대로 감, 오히려 변화를 주는 효과가 됨. 2021. 12. 30.
[직장인의 작곡렛슨 #4] 숙제2 (곡 완성해오기) 숙제는 아래와 같다. > 숙제는 곡 완성해오기. - 인트로 여부 - A B C 하고 간주 여부 - A B C A2 or A B C B2 C - 이후 C3로 갈건지, 브릿지 넣을건지. - C4갈때 작아졌다 커질건지, 바로 터질건지. - outro 넣을건지. 등을 정해서 곡 완성하기. - 2절에서는 코드를 더 자유롭게 변형해보기. 아래는 숙제와 같다. 불러도 보았다. 구성은 아래와 같다. Intro-A-A'1-B1-C1-Interlude-A'2-B2-C2-Bridge-C1 2절 가사를 만드는게 힘들었다. 1절에 맞춰 이미 멜로디가 쓰여져 있고, 할말을 1절에 다해버려서 그런 것 같다. 브릿지는 존박 철부지 코드를 따왔다. Q) - 텐션을 쓰니 뭔가 어울리지 않았다. - 리듬을 어떻게 쪼개는게 좋을지 모르겠다.. 2021. 12. 23.
반응형